철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철근을 짜고 콘크리트를 부어 일체식으로 구성한 라켄구조
벽식구조: 철근콘크리트 벽체와 바닥판으로 구성
인장측은 철근이 ,압축측은 콘크리트
철근과 콘크리는는 온도에 의한 선팽창계수가 거의 같다
알칼리성인 콘크리트는 철근이 녹스는것 방지
부착강도가 비교적 크다
큰크리트로 철근을 피복하므로 내구.내화적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은 크나 인장력에는 약하다
철근은 압축력과 인장력에 대해 거의 같은 강도를 가진다
철근은 열전도율이 높아 강도저하등의 문제가 발생
열전도율이 작은 콘크리트에 의해 이런문제가 해결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클수록 크다
철근의 주장에 비례한다
철근의 표면상태와 단면모야에 따라 달라진다
철근의 묻힘길이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
압축쳘근이 인장철근보다 크다
중성화속도가 빨라지는 경우
탄산가스이 농도가 클경우
물.시멘트비가 클경우
습도가 낮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경량골재를 사용한 경우
혼합시멘트를 사용한 경우
산성비의 영향또는 단기재령일경우
방지대책
타일,돌붙임등으로 마감
피복두께를 증가
부재단면을 크게할것
탄산가스의 영향이 적도록 할것
다짐및 양생을 충분히 할것
재료분리를 방지할것
습도는 높게 온도는 낮게 유지할것
중성화판정: 페놀프탈렌인 1%의 알콜용액을 스페레이로 도포
자적색이면 중성화되지 않은부분으로 판단
장점: 콘크리트로 철근을 피복함으로써 내화.내구
내풍.내지적 구조체이다
형태를 자유롭게 구성,유지관리비가 적게든다
재료가 풍부하고 구입이 용이
고층건물,지하 및 수중구축을 할수 있따
단점
자체중량이 무겁다. 습식구조가 되어 공기가 길다
재료의 재사용이 곤란,시공상 기후의 영향이 크다
공사비가 비교적 고가
형태의 파쾨,철거가 곤란
강도계산이 복잡
전음도가 크다
시멘트
철근과 골재를 교착하는 교착제(1시간부터 10시간까지 응결)
28일이 지나면 거의 소요강도에 도달
포틀랜드시멘트
보통포틀랜드시멘트: 가장보편적으로 사용
조강포틀랜드시멘트: 경화시간이 빠르다,동기공사에 사용
중용열포틀랜드시메트: 경화시간이 느리다 댐공사등에 사용
혼합시멘트: 고로시멘트,실리카시멘트
특수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백시멘트(미장,인조석물갈기)
물
청정한 수돗물이나 우물물사용
바닷물을 사용불가(무근콘크리트는 해수사용이 가능)
시방서상에는 해수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음
약알칼리는 해가없다. 약산성이라도 지장이 있다
염분은 0.01% 당분은 0.1%
골재: 모래와 자갈
잔골재: 5mm체에 85%통과한것
굵은골재: 5mm체에 85% 잔류
철근콘크리트용골재: 25mm이하
무근콘크리트용골재: 40mm이하
골재선정시 유의할점
표면이 거칠고 구형에 가까운것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야 한다
경건하고 청정할것
연속입도 분포로 실적률이 커야한다
유해물이 섞이지 않을것
강도가 커야한다
압축강도 500kg이상
입도: 골재의 대소립이 혼합되어있는정도
경화후의 콘크리트강도,내구성,워커빌리티(물시멘트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혼화재
콘크리트의 성질개량 및 공사비 절감
시공연도를 좋게하는것: AE제,부누산제
방동용: 염화칼슘,식염,염화나트륨
방수제: 급결,조강목적
AE제: 단위수량이 적게된다,시공연도개선,블리딩감소
동결융행에 대한 저항성증가,수밀성증대,발열량감소
콘크리트배합: 콘크리트의 강도는 시멘트강도와 물.시멘트비로 결정
시멘트강도가 클수록,물시멘트비는 적을수록
배합설계순서
배합강도의 결정,시멘트강도의 결정,물시멘트비의 결정
중량배합의결정, AE제와 표면수율의 보정,
믹서한 비빔의 배합량보정
배합강도: 소요강도 표준편차 평균온도 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