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untian/산행지식

[스크랩] 독도법-방위각

석진석현사랑해 2015. 6. 15. 22:46

 

오리엔티어링 산행에 앞서서 간단히 방위각 개념에 대해서 알고 넘어가도록 해보죠.

인터넷에 많이 돌아다니는 훌륭한 독도법 교재들 많은데, 사실 이해하기가 쉽지가 않죠.

제가 멋지게 그림으로 표현해봤습니다. ㅎㅎ. 아마 이해하기 쉬울겁니다. 눈에 확 들어오거든요

 

 

방위각이란  

 

지도를 똑바로 놨을때, 똑바로 놓는다는것은 지도상의 글자가 읽을수 있게 놓은것을 의미합니다.

사패산이라는 글자가 뒤집어져있으면 안됩니다. 옆으로 기울어져있어도 안됩니다. 아래그림처럼 읽기 좋게 놓았을때,

 

위쪽이 무조건 북쪽이며 북쪽은 도북방위각 360도, 오른쪽 직각방향이 동쪽이며, 동쪽은 도북방위각 90

아래는 남쪽, 도북방위각 180도, 왼쪽으로 직각방향은 서쪽이며 도북방위각은 270도.

이것만 알면 일단 방위각은 90% 뗀 셈입니다.

A 지점에서 출발하여 B지점으로 가려고 합니다. 방위각을 재라는데 뭘 재라는 건지 ??

 

 

A에서 B로 진행하는 방위각은 빨간각을 의미합니다. 도북으로부터의 차이, 쉽게말해서 각도죠..그냥 각도기로 재도 됩니다.

나침반에 각도기 기능을 집어넣은것이 등산용 나침반입니다. 실버나침반. 실버가 개발자이던가..그럴껍니다. ㅎㅎ

바로 죠 빨간게 얼마냐하는걸 재는 겁니다.

눈대중으로 재도 됩니다. 남서쪽에 있으니까, 180도보다 크고 270도보다 작겠죠 ?

대충 눈대중으로 한 240도 정도 나오겠는데요...나중에 한번 재보세요...

 

 

도북방위각은 아시겠죠??

그럼 자북방위각은 또 모냐?  아래 백두대간 지도 우측하단부를 보세요. 

모든 지도마다 저처럼 도북과 자북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림을 표시하게 되어 있습니다. 소위 도자각이라고 하는 것으로

우리나라는 자북이 서쪽으로 기울어져있어서 서편각이라고 합니다. 7~8도 사이인데요. 그냥 대충 8도로 보시면 무방합니다.

7도냐 8도냐 하는것은 길찾아가는데 전혀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럼 아까 A->B로 이동하는것으로 다시 돌아가보죠. 도북방위각은 알겠는데, 자북방위각은 뭐냐?

아까 재었을때 도북방위각이 240도 였다면 자북방위각은 248도가 될겁니다.

아래그림을 봐도 자북방위각이 더 넓어보이죠?

 

따라서 도북방위각을 알면 저절로 자북방위각이 구해집니다.

이제 나침반으로 어떻게 저걸 구하느냐만 배우면 끝입니다.

 

 

자북과 도북이 차이가 나는 이유

 

도북과 자북의 위치가 틀리기 때문입니다.

도북은 지도의 북쪽, 즉 북극방향이고, 자북은 자기장의 북쪽입니다. ( 나침반의 북쪽이 가리키는 방향)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하고자 할때 자북 방위각 재기

 

방위각 재는거 아주 간단합니다. 3가지 스텝만 기억하면 됩니다.

 

스텝1. 나침반을 아래와 같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 ( A->B)과 나란히 놓는다.

         주의점: 이때 방향지시화살표 (노란동그라미)를 진행방향으로 해야한다.

 

 

스텝2. 나침반의 주황색판을 돌려서 보조남북선(세개의 까만색 줄)을 지도상의 도북선과 평행이 되게 만든다. 이때 빨간 도수지시선이 가리키는 숫자가 바로 도북방위각

( 유의할 점 : 반드시 N이 위로 오게 해야함 )       

 

 

 스텝3. 도북방위각 + 8도 = 자북방위각  ( 이유는 전편에서 설명 )    

 

위 사진을 좀더 확대하여 보면, 표면 빨간 도수지시선이 242도를 가리키고 있슴을 알수있다 (아래그림).

242도는 도북선에 보조남북선을 일치시켰기에 도북방위각 숫자이며, 여기에 도자각 8도를 더한 250도가 자북방위각이 된다.  즉,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려면 나침반 숫자를 250도로 맞추어놓고 진행하면 된다.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편에는 나침반 방위각대로 이동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중요 나침반 명칭에 대해

 

그림으로 배워보는 방위각 (1),(2)편을 통하여 방위각이 무었인지, 어떻게 재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그렇게 잰 방위각을 이용하여 어떻게 나침반에 세팅하여 방향을 유지하고 찾아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방위각대로 진행하기 - 나침반을 이용한 방향유지법

 

(2)편에서 A--> B 지점으로 방위각을 재었더니, 자북방위각 250도가 나왔다.

나침반을 이용하여 자북방위각 250도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스텝1. 눈금판을 돌려 빨간색 도수지시선에 250도가 오도록 맞춘다.

         (240과 260 중간이 250도이다. 이를 빨간색 도수지시선에 오도록 눈금판을 돌린다.)

 

스텝2. 나침판 몸통 전체을 돌려  빨간 자침과 북방지시 야광판을 일치시킨다.

         ( 스텝1에서는 눈금판을 돌리는 것이고, 스텝2에서는 나침판 몸통전체를 회전시킴 )

 

스텝3. 빨간 자침과 북방지시 야광판을 일치시켰을때, 방향지시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자북방위각 250도 방향이며, 이 방향으로 진행하면 된다.

 

실전에서는 나침반을 돌리는게 아니라, 몸을 돌림으로써 나침반의 자침을 움직이게 하여

야광판과 맞춘다. 그러면 몸의 정면방향이 방향지시화살표의 방향과 일치하게 되며, 그 방향으로 진행하면 된다.

 

 

그림으로 배워보는 방위각 (3) 편에서 나침반을 이용하여 방위각대로 진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몇차례 독도법 및 오리엔티어링 교육을 시켜보면서 느낀것인데, 그 원리를 이해하면 너무 당연하고 쉬운 것임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외우려니까, 처음에 설명듣고 실습할때는 알것 같다가도

 

다음에 혼자 해보려고 하면 또 잊어버리는 분이 많은듯 합니다.

 

이에 이번에는 나침반으로 방위각대로 진행하는 원리를 살펴보는 글을 써봅니다.

 

 

1. 스텝 (1) : 250도로 방위각 세팅하기

 

지난(3)편에서 250도로 아래와 같이 세팅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것의 의미는 주황색눈금판의 검은글씨 N으로부터 각도가 250임을 의미합니다.

 

빨간 도수지시선은 하늘색으로 그려진 방향지시선과 함께 나침판에서 고정되어 있습니다. 움직이지 않지요.

 

주황색 눈금판만이 움직입니다. 따라서 특정 방위각( 여기서는 250 )을 빨간색 도수지시선에 맞추는 행위는

 

바로 주황색 눈금판을 돌림으로써 검정색 글씨 N을 (방향지시선으로부터 특정방위각이 되도록) 움직이는 것입니다.

 

즉, 방향지시선과 N의 각을 세팅하는 것입니다.

 

2. 스텝 (2) : 나침판 몸통을 돌려 빨간 자침과 N을 일치시킨다.

 

지난(3)편에서 스텝1에서 방위각을 세팅한 뒤, 나침판의 몸통을 돌려 빨간 자침과 N ( 야광눈금)을 일치시켰을때 방향지시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진행방향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빨간 자침과 N을 일치시키는 행위는 빨간 자침 ( 자북 ) =  N ( 나침반의 북쪽표시) 함으로써

 

스텝1에서 세팅한 나침반의 각 ( 방향지시화살표와 N )을 빨간 자침(자북선)과 일치시킴으로써, 방향지시화살표가 자북선으로부터의 방위각을 나타내게 하는 것입니다.  

 

출처 : 우스~~~^^*
글쓴이 : 우스 원글보기
메모 :